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Physical Therapy

물리치료학과

이학 석사
Master of Science

학과목적

의학의 발달과 경제 성장으로 인한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노인 및 장애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과 뇌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이환율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만성 질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물리치료사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현장 실무와 연계된 고도화된 전문 인력의 양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학력 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기 개발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체 전문가로서 물리치료사는 질병 및 손상의 예방과 건강 유지에 특화된 역량을 갖춘 전문가이며, 본 학과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건강관리 분야의 새로운 리더를 배출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물리치료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첨단 연구 장비의 폭넓은 활용을 통해 세계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학과목표

물리치료학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학습하고 탐구함으로써 물리치료에 대한 깊은 식견을 갖추고, 미래 지향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전문성과 실무 역량을 겸비한 물리치료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적이며 현장 중심의 인재를 배출하고자 합니다.

  • 물리치료의 전문 분야별 최신 지식을 학습하고, 임상 치료사로서 전문화된 물리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태도와 기술을 습득합니다.
  • 물리치료의 최신 지견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 탐구 방법을 학습합니다.
  • 물리치료 문제 해결을 위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적 지식과 통합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익힙니다.

학과특성

  • 융합 기반의 전문 교육: 물리치료학의 다양한 세부 전공(근골격계, 신경계, 심폐계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문 간 융합 역량과 임상 응용 능력을 고루 갖춘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 임상과 연계된 실무 중심의 연구 교육: 대학병원 및 지역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임상 현장과 연계된 실증적 연구 및 실습이 가능하도록 교육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첨단 연구 장비 및 시설 기반의 연구 환경: 최신 운동 분석 시스템, 보행 및 균형 분석 시스템, 정량적 근전도 측정기기 등 첨단 연구 장비를 활용한 실험 및 연구가 가능하며, 대학원생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
  • 지역사회 건강 증진과 연계된 활동: 지역사회 대상의 물리치료 교육, 건강 증진 프로그램 운영, 자원봉사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무를 실현하며, 실질적 변화를 유도하는 물리치료사를 양성합니다.

발전방안

  • 국제 수준의 연구 역량 강화: 세계 물리치료학계의 흐름을 반영한 연구주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국제 공동 연구 및 해외 학술대회 참여를 적극 장려하여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합니다.
  • 산학연계 기반의 실용연구 확대: 산업체, 병원, 연구소 등과의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실용연구를 확대하고, 대학원생의 진로 다양화에 기여합니다.
  • 전문자격 및 고급 임상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전문물리치료사 자격 취득, 재활 특화 자격증 과정 등 고급 임상기술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현장 경쟁력을 높입니다.
  • 차세대 물리치료 리더 양성: 학문적 식견과 실천력을 갖춘 차세대 물리치료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원생의 연구 기획 및 발표 능력, 교육 역량 등을 체계적으로 훈련합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연구실 전화
최원재 물리치료학 이학박사 C5-336 041-750-6715
원종혁 물리치료학 이학박사 C5-342 041-750-6766
정도영 물리치료학 이학박사 C5-341 041-750-6764
차현규 물리치료학 이학박사 C5-343 041-750-6748
박희용 물리치료학 이학박사 C5-337 041)750-6240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전공 장애아동의 이해 3 3
물리치료 연구방법론 3 3
신경계 운동재활 특론 3 3
신경계 운동재활 특론 3 3
재활운동신경과학 3 3
신경계물리치료 접근법 3 3
신경계물리치료 특론 3 3
고급 신경학 연구 3 3
신경계물리치료세미나 3 3
심폐물리치료특론 3 3
노인물리치료특론 3 3
도수치료학 특론 I:KEMA 접근법 3 3
도수치료학 특론 II:KEMA 접근법 3 3
스포츠 역학분석 및 중재 3 3
인간공학치료학 3 3
동작분석 및 근전도 3 3
근골격계물리치료세미나 3 3
골프치료학 3 3
족부관리학 3 3
근거중심 물리치료학 3 3
연구윤리 및 의학논문작성지도 3 3

교과목 해설서

장애아동의 이해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전반적인 발달 과정, 특성, 필요 및 지원 방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물리치료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 for Physical Therapy 연구의 기본 개념과 설계 및 통계 해석을 통해 논문을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신경계 운동재활 특론 Advanced Neurological Therapeutic Exercise 중추신경계통 중 뇌졸중과 척수에 대해 이해하고 뇌와 척수손상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기초로 손상 부위와 손상 수준에 따른 재활 및 이동 방법에 관해 교육한다.
재활운동신경과학 Neuroscience for Movement and Rehabilitation 재활운동신경과학과정의 목적은 인간의 움직임의 신경학적 제어, 신경학적 병변으로 인한 움직임의 장애, 움직임에 관한 신경학적 조절의 연구의 방법론적 접근에 관한 지식과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신경학적 병변의 움직임장애에 관한 운동조절, 운동학습 신경가소성에 대한 최신의 개념을 논의한다.
신경계물리치료 접근법 Approach of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과제 지향적 운동, 가상현실 및 사물인터엣 기반 운동프로그램을 뇌졸중, 뇌성마비, 인지손상 환자에게 적용하여 객관적인 치료효과를 제시하고 새로운 재활 기술을 창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신경계물리치료 특론 Advanced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신경계의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고 신경과학 분야에서 보다 진보적인 주제를 학습하며, 이에 근거하여 중추신경계 환자들에 대한 물리치료의 최근 경향과 치료방법들에 대해서 강의한다.
고급 신경학 연구 Advanced Neurologic Study 신경학의 최신경향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신경계의 병리적 특성을 이해한다.
신경계물리치료세미나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Seminar 물리치료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신경계 질환과 치료적 상황들에 대한 강의하며 최근의 치료정보들에 대해 토론한다.
심폐물리치료특론 Advanced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폐와 심장의 태생학, 조직학, 육안해부학 등을 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생화학, 약리학, 생리학, 미생물학 등을 토론한다. 임상적인 진단과 치료 그리고 운동 등을 연구한다.
노인물리치료특론 Advanced Geriatric Physical Therapy 노인들의 특별한 문제를 연구하며 노인들을 위한 독특한 진단법, 치료법 그리고 심리 사회적인 면의 개선 방법 등을 연구한다.
산업체물리치료특론 Advanced Ergonomics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관계성을 분석하고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과목으로 직종에 따른 근로자들의 생체역학, 자세평가, 장애인 관련 시설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도수치료학 특론 I:KEMA 접근법 Advanced Manual Therapy I: KEMA Approach 운동계 손상의 원리와 개념을 소개하고, 상부 운동 손상증후군과 관련된 객관적인 검사와 평가 그리고 케마치료(Kinetic exercise based on movement analysis: KEMA)에 기초한 물리치료 중재기법을 교육한다.
도수치료학 특론 II:KEMA 접근법 Advanced Manual Therapy II: KEMA Approach 운동계 손상의 원리와 개념을 소개하고, 하부 운동 손상증후군과 관련된 객관적인 검사와 평가 그리고 케마치료(Kinetic exercise based on movement analysis: KEMA)에 기초한 물리치료 중재기법을 교육한다.
스포츠 역학분석 및 중재 Sports Biomechanical Analysis & Intervention 스포츠 활동 시 인체의 역학적인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동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스포츠손상 예방 및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인간공학치료학 Ergonomic Therapy 생체역학에 기초한 올바른 작업 자세와 동작을 연구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신체의 안전 및 손상 예방을 교육한다.
동작분석 및 근전도 Motion Analysis & EMG 물리치료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심화된 근전도 활용법과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 적용 방법에 대해 강의하며, 동작분석의 기본적인 지식과 이를 바탕으로한 치료적 접근방식에 대해 교육한다.
근골격계물리치료세미나 Musculoskeletal Physical Therapy Seminar 물리치료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과 치료적 상황들에 대한 강의하며 최근의 치료 정보들에 대해 토론한다..
생체역학 Biomechanics 물리치료 평가와 치료의 근본이 되는 생체 역학의 이해와 각 관절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생체역학을 집중학습하여 관련 연구의 기초를 확립한다.
골프치료학 Golf Therapy 골프 스포츨 활동 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스포츠손상의 발생기전과 예방 및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족부관리학Pedorthics 족부의 생체역학을 학습하고, 생체역학적 문제로 발생하는 발의 기능장애, 통증에 대한 평가 및 관리 방법 그리고 기능성 인솔 및 신발 수정법에 대해 학습한다.
근거중심 물리치료학Evidence-Based Physical Therapy 환자에게 질 높은 물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과학적인 연구를 검색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며 임상에서 가장 유용한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연구윤리 및 의학논문작성지도 Research Ethics and Medical Research Guide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연구 시 고려되어야 할 생명윤리의 개념을 확립하고 연구윤리에 부합하는 연구 대상자 설정 및 연구 방법 설계 능력을 기르며 의학 논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스스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논문 작성 능력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