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일반대학원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학, 글로벌문화콘텐츠학*)

예술학박사
Doctor of Philosophy

“*” 표시 세부전공은 외국인 대상 집중이수제 이중언어(통역) 이수과정임

학과목적

  • 문화콘텐츠학과는 문화의 사회적 현상의 결과인 만화애니메이션, 실용음악, 사진, 방송, 게임, 영화, 메이크업 등을 포괄하는 문화콘텐츠의 연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 학과는 문화콘텐츠 분야의 깊이 있는 지식과 표현 방법 등을 연구하고, 콘텐츠를 제작 할 수 있는 능력과 비평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4차 산업의 주요 부분인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도해나갈 인재를 양성하고, 한류의 큰 축인 실용음악, 영상, 만화애니메이션, 뷰티분야에서 국내•외 글로벌 문화컨텐츠 인재를 양성한다.

학과목표

  •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 인재 양성
  • 문화기술 융 복합 교육, 연구를 통한 창의 연구 인재 양성
  • 문화 콘텐츠 산업의 기획능력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양성

학과특성

  • 문화콘텐츠분야는 다양한 문화의 산출물들을 가공 유통하는 분야이다.
  • 콘텐츠 분야를 크게 나누어 공연예술과 시각예술로 구분할 수 있다.
  • 문화콘텐츠 학과에서 실질적 운영에 두 분야의 공통부분의 수업과 공연예술전공, 시각예술전공으로 세분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 문화콘텐츠 분야의 전문지식을 지속적으로 연구 수행하여 세부전공별로 심도 있는 연구능력을 향상한다.

발전방안

문화콘텐츠학과는 인문학적 소양과 문화의 산물인 콘텐츠를 연구, 개발,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국제교류를 통한 글로벌 문화콘텐츠 전문인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운영한다.

  • 21세기를 선도하는 미래 성장 동력 문화콘텐츠 전문인 양성
  • 만화애니메이션, 사진, 디자인, 실용음악, 게임, 영화, 뷰티 전문 콘텐츠 제작자 양성
  • 글로벌 한류 선도 인재양성
  • 산학 공동 R&D 연구개발

교수소개

교수소개의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전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명 전공분야 최종학위 전화
허 강 문화콘텐츠 예술학박사 031-8075-1704
이봉녀 미학 문학박사 031-8075-1705
허현주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학박사 031-8075-1692
안시준 디지털미디어 사진학박사 031-8075-1690
현혜연 시각인류학 철학박사수료 031-8075-1700
변정민 공연예술 응용예술학박사 031-8075-1757
박정신 메이크업디자인 이학박사 041-750-6288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의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수
공통
교과목
문화콘텐츠 기획론 3 3
한국예술탐방 3 3
문화원형론 3 3
문화 테크놀로지 연구 3 3
문화정책 3 3
예술경영 3 3
가상 증강 현실 연구 3 3
연구지도Ⅰ,Ⅱ 3 3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2 1 1
공연예술전공
교과목
무대음악분석 3 3
실용음악교육연구 3 3
디지털음악컨텐츠 3 3
한국 근대 대중음악연구 3 3
뷰티학특론 3 3
뷰티디자인특론 3 3
뷰티문화사특론 3 3
인체미학특론 3 3
시각예술전공
교과목
멀티미디어 콘텐츠 실습 3 3
애니메이션특강 3 3
만화애니메이션기획 3 3
창작만화특강 3 3
영상미디어론 3 3
시각인류학 3 3
디지털 이미지론 3 3
사진영상 3 3
디자인가치론 3 3
디자인 매니지먼트 3 3
디자인기획 및 방법론 3 3

교과목 해설서

문화콘텐츠 기획론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애니메이션, 사진영상, 실용음악의 문화콘텐츠를 제작, 유통, 서비스의 성공을 위한 기획을 이해한다.
한국예술탐방 Studying of Korean Art 한국 미술의 다양한 장르를 둘러보는 과목으로, 조선시대의 미술에서부터 최근 한국미술의 경향까지 살펴본다.
문화원형론 Cultural archetype 문화의 가장 근본적 유형을 찾는 작업으로 신화와 종교 전설 우화 역사 정치 경제 사회 예술 등 인류의 전반적인 삶의 패턴을 함축하고 있으며, 문화이미지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이다. 문화유산 등을 소재로 각 시대별 공간별 문화의 원형에 접근하는 방법과 문화에 대한 다각적 분석능력을 교육한다.
문화테크놀로지연구 Studying of Cultural Technology 가상현실에서 Web 3.0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문화기술(CT)에 대해 소개하고,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문화정책 Culture policy 예술과 문화 산업의 특성에 따른 문화정책 수립에 대해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문화정책에 대한 분석력과 통찰력 및 평가력을 키우는 것이 이 수업의 수업목표이다. 정책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정책도구로서의 법규, 행정조직, 재정 등에 대해 배우고 정책의 집행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정책입안자들과의 연결망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술경영 Business Art 예술 유통의 활성화와 예술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연구 분석한다.
연구지도1 Advanced Seminar of Thesis1 학위논문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서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연구지도2 Advanced Seminar of Thesis2 학위논문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서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가상증강현실연구 Studying of VR.AR technology 구성하는 다양한 플랫폼과 미디어 환경 아래 기술과 서비스가 융합하는 게임을 실제로 기획하고 제작해보는 실전수업이다.
멀티미디어콘텐츠실습 Production of Multimedia Contents 문화콘텐츠 제작에 사용해야할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실무 능력을 학습한다.
애니메이션특강 Technology of VFX in films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영상부분은 차세대 첨단산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3D프로그램 역시 이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3차원 모델링, 맵핑, 애니메이션 특수효과표현에 중점을 둔다.
예술치유콘텐츠개발론 Development of Artistic Healing Contents 예술치유의 역할과 전망, 사회적 평판 등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체 계적인 패러다임을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음악, 미술, 춤, 영상물등을 이용한 마음치유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한다.
만화애니메이션기획 Cartoon and animation Planning 만화애니메이션시장 동향을 조사하고, 실제 출판, 제작이 가능한 기획을 연구하고, 적절한 생산방식을 마련하여 실제 제작으로 이어지게 한다.
디자인 가치론 Design Axiology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디자인 가치의 본질과 그 근원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인간의 가장 바람직한 삶을 위해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한다.
창작만화특강 Originate Comics 편집만화로 스토리를 구성하여 위트와 시사성이 있는 내용을 만화적으로 표현을 교육한다.
영상미디어론 Theory of Visual Media 세계 문화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들이 렌즈를 통해 이미지로 형성되어 미디어의 복제 수단이자 결과인 영상매체를 인쇄, 방송, 인터넷 등과 같은 영상다매체시대에 연결시켜 동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사진영상인의 역할을 연구하고 윤리적 인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각인류학 Visual Anthropology 인류 역사에서 시각물과 시각 환경은 인간 삶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되었다. 인류는 시각적 산물을 통해 생각하고, 소통하고, 역사를 남겼다. 이 과목은 모든 시각 환경을 분석의 도구와 대상으로 학습함으로써 삶을 이해하고 예술을 이해하며 미래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이미지론 Digital Imaging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변화에 따른 디지털이미지 환경에 대한 연구와 디지털이미지의 제작부분, 디지털이미지의 활용 및 환경변화가 야기할 발전추이에 관한 탐구를 주제로 진행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본 과목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 환경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진영상 현장탐방 Field Trip of Image Industry 뉴미디어 시대의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진영상이 만들어 지고 활용되는 다양한 현장에 직접 나가 보고 체험한다. 현장의 전문가들과 함께 새로운 미디어와 산업 현장, 예술과 트랜스 미디어의 상황과 변화과정을 체험하면서 자신의 영역확장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 매니지먼트 Design Management 디자인경영의 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디자인과정에서 파생되는 여러 요소들의 연구능력을 키우고, 디자인의 목적을 능률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디자인에 관한 여러 가지 활동을 계획, 조직, 충원, 조정, 통제하는 Design Management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실제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디자이너의 경영능력을 구성하는 기획력과 분석력 그리고 통합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기획 및 방법론 Design Strategy & Methodology 디자인 제 분야의 디자인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경제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접근할 수 있는 원칙과 이론, 정책과 전략에 대하여 다면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 학습한다.
무대음악 분석 Stage Music analysis 무대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특징을 고찰하고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무대음악의 스타일을 분석한다.
실용음악교육연구 Commercial music education 한국의 실용음악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분석과 통찰력을 갖춘 평가능력을 양성하며 실용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고 연구하는 새로운 정책을 연구한다.
디지털음악 컨텐츠 Digital Music contents 음원과 동영상으로 변화한 음악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여 미래지향적인 음악의 스타일 및 홍보의 창구로 사용되는 1인 방송 및 1인 콘텐츠기획에 대하여 연구한다.
한국 근대 대중음악 연구 Korean Modern Popular Music Research 대중음악의 역사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중음악의 연구 및 제작실습을 통하여 직접 기획하고 제작하는 수업으로 근대 대중음악의 가치를 발굴하고 연구한다.
뷰티학특론 Advanced of Beauty theory 뷰티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미래 전문 뷰티학자로서 자질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뷰티디자인특론 Advanced of Beauty design 뷰티와 관련한 디자인의 도형학적 원리를 학습한다.
뷰티문화사특론 Advanced of Beauty Cultural History 역사적 관점에서의 미용문화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미래 전문 뷰티학자로서 뷰티문화사를 응용한 뷰티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인체미학특론 Advanced of Human Aesthetics 뷰티분야에서의 인체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 개념을 파악하고 예술적 표현역량을 고취시키고자한다.